에니어그램

에니어그램의 도형 설명

살핌과 나눔 2013. 4. 1. 10:35

 


 

에니어그램의 도형 설명

 

 


 

 

1) 원

고대로부터 인간이 꿈꾸어온 이상향은 圓滿(원만) 充滿(충만)이었다

 

圓滿(원만)  充滿(충만)의 의식상태는
누구나  어디서나 언제나 통하는 교류와 화합을 의미함으로
자신과 자신 사이 : 자신과 타인사이 :
자신과 物(물) 사이 : 자신과 神(신) 사이를
모두 일컫는 의식의 충족을 의미한다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그런 원형의식이 잠재되어 있어
고대의 에니어그램에서도
사람을 온전하고 전체적인 존재로 바라보며 원만함을 추구한다

 


2) 삼각형

그런 원만자족한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중심 잡힌 삶을 살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중심 잡힌 삶이란 생각  감정  행동이 균형되게 나타나는
사람의 삶을 의미한다

 

고대의 에니어그램은
생각한 것을 느낄 줄 알고 느낀 그대로 행동할 줄 아는
의식의 균형성을 추구하고 있다

 

고대에는 글자보다는 상징  숫자로 의미를 나타내곤 했는데
그런 숫자의 의미로 3은 상서로운 숫자라 해서
다양한 분야에서 3을 균형성을 위한 수로 보곤 했다

 

종교분야에서는 특히 많은 의미를 담아 사용되었다

기독교 - 성삼위일체
불교 - 불. 법. 승
도교 - 천. 지. 인
유대교 -  카발라 등

 


3) 헥사드

내안의 균형성을 스스로 경험하게 되는 생명의 흐름을
고대에서는 易(역)이라 불렀다

 

易(역)은 생명의 변화하는 방향을 일컫는다
생명은 쇠퇴하고 번성하는 음과 양의 조화로 이루어지며
우리의 의식의 흐름도 음과 양의 흐름을 따라 변화하게 된다

 

이런 생명의 원리를 헥사드라고 부르며
이런 헥사드를 가리켜 에니어그램은 분열  통합이라고 부르고 있다

 

힘의 중심은 에너지의 원천이 사람들마다 가지고 있다고 보고
생활해 나가면서 사람들 마다 가질수 있는 활력의 원천의 의미한다

 

에너지의 원천들에 따라
생활양식이나 존중받는다는 느끼는 방식이 달라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