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림

백년에 한번 피는꽃 - 푸야 라이몬디 (puya raimondii)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100년에 한번 피는 꽃

푸야 라이몬디 (puya raimondii)

 

 100년에 딱 한번 피는 세계에서 가장 키큰
남미 안데스의 푸야 라이몬디(puya raimondii)
살아생전 이 꽃 보는것도 행운이라합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일생에 단한번 꽃을 피우기 위해 춥고 메마른
안데스 산맥의 거친 대지에서 100년을 기다리는
꽃... 푸야 라이몬디(Puya raimondii)

 

 

파인해플과에 속하는 남아메리카산 식물로서
120여종이 있고 푸야 라이몬드는 그중 가장
키가 큰 종이며 다자란 푸야는 직경이 2m
키는 10m 에 이른다 합니다

 

 

살아있는 화석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가장 오래된
고대부터 있어온 종 중에 하나이며 세계적으로
페루와 볼리비아 안데스 지역에만 한정되게 자라는
희귀종이라고합니다

 

꽃명은 그지방서는 현자로 불린다는 이탈리아 출신의
학자 안토니오 라이몬드 에서 따왔다 합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평상시는 날카로운 가시가 촘촘이 붙은 긴잎으로 둘러 쌓인채로 자라다

100년 정도 산후에 6백만개 이상의
씨를 품은 3천여개의 꽃을 터뜨리듯 피워냅니다

 

일생에 단한번 만 꽃을 피우며 그

후 3개월 동안 살다가 기나긴 생을 마감한다 합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안데스 산맥에 위치한 알티플라노 고원의 불모지의 일부를 가로질러

코만체 라는 보잘것 없는 고지대의 돌산지역에

세상에서 가장 거대한 초본 식물이자 안데스 산맥에서 가장
놀라운 식물이라고 불리는 푸야 라이몬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푸야에는 교목이나 관목과는 달리 목질 구조가 없기 때문에
식물학자들은 푸야를 초본식물로 분류합니다

 

 

이 식물은
가늘고 매우 뾰족한 잎사귀들이 높은 부분에서 방사상으로
무척 넓게 뻗어 나와 있습니다

 

 

그 잎사귀들의 안을 들여다보면

이곳이 작은 새들에게는 죽음의 함정이라고 합니다

 

안으로 들어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잎사귀와 잎사귀 사이의 공간에는
아마도 매를 피해 들어왔다가 뾰족한 잎에 찔려 죽은 것으로
보이는 새들의 말라 버린 시체가 들어 있습니다

 

동영상으로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