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

백두산 (白頭山)




백두산 (白頭山)

높이는 2,750m로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입니다
해방 당시까지 최고봉은 병사봉(2,744m)으로 측량되었으나
현재는 장군봉으로 이름이 바뀌고
해발고도도 2,750m로 다시 측량되었습니다

 겨울의 장백폭포

 함경도와 만주 사이에 있는
 장백 산맥(長白山脈) 동쪽에 솟은 우리나라 제일의 산이며
 장군봉 천지(天池)에서
 압록강 두만강 송화 강(松花江)이 시작합니다

 

 

 금강 대협곡

 원래 백두산은 우리 민족의 산이였지만
 역사적인 다툼이 계속되었지만
 북한이 중국의 지원을 받으며
 백두산 일부를 중국에 양보해
 중국에서는 창바이 산[長白山]이라고 하며
 북동에서 남서 방향의 창바이 산맥[長白山脈]과
 북서에서 남동 방향의 마천령산맥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금강 대협곡

 고조선 이래 부여·고구려·발해 등이
 백두산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백두산 주변의 숙신족·읍루족·말갈족·여진족·만주족 등도
 그들 민족의 성산으로 숭앙하여
 역사화 전설화 신격화했다고 합니다

 

 

 금강폭포
 
 
백두산의 중앙부에는 천지가 있으며
 그 주변에는 2중화산의 외륜산에 해당하는
 해발고도 2,500m 이상의 봉우리
 16개가 천지를 둘러싸고 있는데
 모두 회백색의 부석으로 덮여 있습니다
 


 

이 가운데 6개 봉우리는 북한에 속하며
 (최고봉 2,750m의 장군봉)
 7개는 중국에 속하고
 (최고봉 2,741m의 백암봉)
 3개의 봉우리는 국경에 걸쳐 있습니다

 

 

 천지 수면에서 장군봉 꼭대기까지는 600m의 비고로
 백두산 중앙부는 넓고 파란 호수 주변에
 비고 약 500m의 회백색 산봉우리들이 둥그렇게 둘러 있어
 아름다운 경관을 이룹니다


 백두산 천지 (天池)
 

 천지의 총저수량은 20억t으로
 그 가운데 70%는 빗물이며
 나머지 30%는 지하수가 솟아 오른 용천수라고 합니다

 

 백두산 운해

 

 천지는 수면의 해발고도 2,190m
 평균수심 213.3m 가장 깊은 곳 384m
 남북거리 4.85㎞ 동서거리 3.55㎞
 둘레 14.4㎞ 면적 9.165㎢로
 매우 넓고 깊은 호수입니다


 백두산 입구

 천지의 총저수량은 20억t으로
 그 가운데 70%는 빗물이며
 나머지 30%는 지하수가 솟아 오른 용천수라고 합니다

 

백두산 일출

 

 화산폭발에 의해서 덮인 부석(경석이라고도 함)이
 회백색을 나타내며
 꼭대기는 1년 중 8개월 이상 눈에 덮여서
 희게 보이기 때문에 백두산이라 부릅니다

 백두산 천지 외륜
 
 풍수지리에서는 지세를
 사람의 몸에 비유하여 이해하기도 하는데
 백두산을 기(氣)가 결집된 머리로
 낭림-태백-소백 산맥을
 백두산의 기가 전달되는 등뼈산맥으로서
 백두대간(白頭大幹)이라 합니다

 

 

 백두산 천지 청석봉
 
 백두산은 해발고도 약 2,000m가 수목한계선이 되어
 이보다 높은 지대는 짧은 여철에 풀만 자라는
 산악 툰드라 지대에 속해 주빙하지대 입니다

 

 

  백두산 가을


 

  천지 주변의 그늘진 골짜기에는 
  가장 더운 달인 7월에도 눈이 남아 있고
  땅속 0.8~1m 깊이 이하에 영구동토층이 있어
  여름에도 녹지 않습니다

 백두산 겨울
 
 백두산에는 650여 종의 식물종이 분포해있다고 합니다
 200~400년 전의 화산활동의 영향으로
 새로운 식물천이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있다고 합니다 

백두산의 늪
 

 백두산은 해발고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고도에 따라서 식물종의 분포가 다르며
 다양한 식물이 자라고 있습니다

백두산 봄
 
 
백두산은
 적송 잎갈나무 가문비나무 자작나무 등의 삼림이 있으며
 건축용의 골재와 단열재로 이용 가능한 부석
 천연수로 이용되는 천지의 물
 약초와 산나물 등이 유명하다고 합니다

백두산 초가을


 이제는 무자비한 개발로 백두산은 많이 훼손되었습니다
 중국과 북한이 경쟁적으로 산림도 파괴하고
 관광지로 개발하여 점점 백두산의 위용도 사라지고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백운봉에서 본 천지

 백두산 화산이 폭발할것이란 관측이 되고있으며
 다시 한번 백두산이 폭발하면
 아마 백산의 무자비한 개발에 대한
 자연의 분노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내 개인의 생각)


 서 백두산

 장백폭포의 여름

 

장백폭포

 

 

백두산 천지

 

백두산 초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