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춘(立春)
세시풍속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로
보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315도일 때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
입춘은 음력으로 주로 정월에 드는데
입춘방(立春榜)·춘방(春榜)이라고도 한다
어떤 해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드는 때가 있다
이럴 경우 재봉춘(再逢春)이라 한다
각 가정에서는 기복적인 행사로
입춘축(立春祝)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인다
입춘축을 쓰는 종이는 글자 수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가로 15센티미터 세로 70센티미터 내외의 한지를
두 장 마련하여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입춘날 붙이는 대구는 많이있지만 알려져 있는것은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국태민안 가급인족(國泰民安 家給人足) 등을 많이 붙인다
그 외에 한지를 마름모꼴로 세워
용(龍)자와 호(虎)자를 크게 써서 대문에 붙이기도 한다
상중(喪中)에 있는 집에서는 써 붙이지 않는다
옛날에는 닥쳐오는 일년 동안
대길(大吉)·다경(多慶)하기를 기원하는
갖가지 의례를 베푸는 풍속이 있었으나
근래에는 더러 입춘축만 붙이는 가정이 있을 뿐
그 절일(節日)로서는 기능을 상실하고 말았다
- yeabosio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식(寒植) 과 식목일(植木日) (0) | 2012.04.05 |
---|---|
정월 대보름의 유래(由來) (0) | 2012.02.06 |
예절 교육 자료 (0) | 2012.01.31 |
설날 (0) | 2012.01.19 |
동지(冬至) (0) | 2011.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