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우리민족의 민속의 날인 설
음력으로 1월1일 새해의 아침을 말한다
일본 강점기 시절 일본제국은
서력기원의 첫날을 신정(新正)
단군기원의 첫날을 구정(舊正) 이라고 칭하였다
바른 표현은 설 혹은 새해아침이라 불러야한다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을 맞이한다고하여
한자로 정조(正朝) 원조(元朝) 원일(元日) 원신(元辰)
원단(元旦) 연시(年始) 연수(年首) 연두(年頭) 세수(歲首)
삼원(三元) 민속의날(民俗-) 원정(元正) 등등 많은 표현이 있지만
순수한 우리 표현은 설이라고 부르는것이
세시풍속에 맞는 표현인것 같다
신라인들이 새해아침에 서로하례하며
왕이 잔치를 베풀고 일월신(日月神)을 배례한다는 기록이 있고
고려사(高麗史)에도 설날(원정元正)은
상원(上元) 상사(上巳) 한식(寒食) 단오(端午)
추석(秋夕) 중구(重九) 팔관(八關) 동지(冬至)와 함께
9대 속절(俗節)의 하나로 기록되어 있지만
음력 설을 민속의날로 정하여 지킨것은
조선시대부터 생겨난것 같다
유교 전통에의해
새해첫날 사당에서 제사를 지내는것을 차례(茶禮)라 하고
어른들을 찾아뵙고 인사를 드리는것을 세배(歲拜)라 하며
울긋불긋한 옷을 입고 아는사람을 만나면 덕담(德談)을 나누며
윷놀이 연 날리기 널뛰기등등으로 즐기며
아이들은설빔이라하여 때때옷(세장歲粧)을 입고
대접하는 음식을 세찬(歲饌)이라고하며
떡국을 나누어 먹으며 곁들여 나오는 술을 세주(歲酒)라 한다
떡국(떡병 끓일 탕 餠湯)을 나누어 먹으며
시루떡(시루증 떡병 甑餠)을 져서 삭망전(朔望奠)에 올려 빌기도했다
기타 곶감 강정류 수정과 식혜 빈대떡 등등
우리민족의 음식들을 나누어 먹는다
- yeabosio
흑룡의 해 새날 아침
아름다운 삶으로 건강하시고
바라고 원하시는 모든 일들이 이루어지는
밝은 아침을 맞이하시어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 살핌과 나눔 拜上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춘(立春) (0) | 2012.02.03 |
---|---|
예절 교육 자료 (0) | 2012.01.31 |
동지(冬至) (0) | 2011.12.21 |
파랑색 (BLEU) 꿈꾸는 기분 - 색의 신비에서 (0) | 2011.12.11 |
빨강 (RED) 변화에 필요한 에너지 - 서은주 (0) | 2011.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