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혜

동지(冬至)

 

 

동지(冬至)

 

 

동지(冬至)는
24절후의 스물두 번째 절기로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항상 양력으로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이다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음력 11월 중기(中氣)이고 양력 12월 22일경이 절기의 시작일이다
북반구에서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아서 밤이 가장 긴 날이며
같은 시간에 남반구에서는 이와 반대인 하지가 된다


 

동지를 기점으로 낮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종교적으로 혹은 풍속적으로 축제로 삼았다

중국 주나라에서는
이날 생명력과 광명이 부활한다고 생각하여 동지를 설로 삼았다

 

 

당나라 역법서(曆法書)인 선명력(宣明曆)에도
동지를 역(曆)의 시작으로 보았다

역경(易經) 에도 복괘(復卦)에 해당하는 11월을 자월(子月)이라 해서
동짓달을 일년의 시작으로 삼았다
동지와 부활이 같은 의미를 지닌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농경민족인 로마인의 농업신인 새턴(Saturn)의
새턴네리아 축제가 12월 21일부터 31일까지 성했고
그 중 25일이 특히 동지 뒤 태양 부활일로 기념된 날로
구미(歐美) 각국의 성탄절(크리스마스)도
초기 기독교가 페르시아의 미트라교(Mithraism)의 동지 축제일이나
태양 숭배의 풍속을 이용해서 예수 탄생을 기념하게 한 것이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흔히 아세(亞歲) 또는 작은설이라 하였다
태양의 부활이라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가는 작은설로 대접 하는 것이다

우리 민족은 태양력인 동지에다가
태음력을 잇대어 태음태양력으로
세시풍속을 형성시켜 의미를 부여하였다

 

 

 

양력으로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中冬至)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老冬至)라고 한다

애동지에는 팥죽대신 팥시루떡을 해먹는다고 합니다

 

 

 

이 관념은 오늘날에도 여전해서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살 더 먹는다 라고 하며
동지첨치(冬至添齒)의 풍속으로 전하고 있다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 장가 가는날 이라고도 부른다

 

 

동지에는 동지팥죽을 먹는다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단자를 만들어 넣어 끓이는데
단자는 새알만한 크기로 하기 때문에 새알심이라 부른다

 

                                                                              - yeabosio

 

고향의 노래